본문 바로가기

Spring13

스프링 빈과 의존 관계 스프링 빈 등록하는 두 가지 방법 1.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 관계 설정 2.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 1.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 관계 설정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public MemberController(MemberService memberService) { this.memberService = memberService; } } @Controller 애너테이션을 붙이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MemberController를 생성해서 컨테이너에 넣어두고 관리한다. 생성자에 @Autowired가 있으면 스프링이 연관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2022. 9. 25.
스프링 웹 개발 기초 정적 컨텐츠 서버에서 어떠한 작업 없이 파일을 그냥 내려주는 것 웹브라우저에서 localhost:8080/hello-static.html라고 요청이 왔다. 톰캣 서버가 이러한 요청이 왔다고 스프링에게 전달한다. 스프링은 컨테이너에 hello-static이라는 컨트롤러가 있는지 찾아본다. (컨트롤러에 우선순위가 있음) 없으면 resources안에 요청파일을 찾아서 반환한다. MVC와 템플릿 엔진 html을 서버에서 무언가를 동적으로 바꿔서 내려주기 위해 MVC 패턴으로 개발하는 것을 뜻함. Model, View, 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mvc") public String helloMvc(@Reques.. 2022. 9. 25.
사용중인 포트 죽이기 오잉? Spring Boot로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인텔리제이에서 실행을 중지시켰는데도 계속 포트가 할당되어 있었다. 그럴 때에는 특정 포트를 사용 중인가 확인하고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시켜줘야 한다. sudo lsof -i:포트번호 sudo kill -9 프로세스 번호 프로세스 번호는 첫 번째 줄을 입력하고 나온 결과의 PID 항목을 넣으면 된다. 2022. 9. 24.
Spring과 Spring Boot 스프링 프레임워크 먼저 Spring은 Java 기반의 오픈소스 백엔드 프레임워크인데 말 그대로 '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옛날에 쓰던 자바 기술 표준 중에서 Enterprise Java Beans라는 EJB가 대중적으로 쓰이던 때가 있었다. 당시 EJB는 여러 가지 좋은 기능이 많았지만 엄청 복잡하고 속도도 느려서 개발자들이 고통받았다고 한다. 그때, 고통받던 개발자들 중에서 로드 존슨이라는 사람이 EJB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책을 출간하게 된다. 책의 내용은 EJB 없이도 충분히 고품질의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음을 코드로 보여주고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 POJO, 제어의 역전, 의존관계 주입 등 스프링의 핵심 개념과 기반 코드가 담겨있어 당시 개.. 2022. 9. 2.
반응형